그림 drawing/민화 - 자료

[민화자료 ] 용

uchonsuyeon 2025. 5. 16. 11:03
728x90

용은 기린·봉황·거북과 더불어 사령이라 불려온 상상의 동물이다. 용은 인류 문명의 4대발상지에서 모두 나타난다. 각 민족은 시대와 사회환경에 따라 나름의 용의 모습을 상상하고, 그 용이 발휘하는 조화능력을 신앙해왔다. 이 과정에서 수많은 신화·설화·전설이 탄생했다. 중국 문헌에는 용이 각 동물이 가진 최고의 무기를 모두 갖추고 조화능력이 무궁무진한 것으로 묘사되고 있다. 여기에 불교적 요소가 가미되고 우리의 창조력이 더해져 우리의 용이 완성되었다. 특히 물을 지배하는 수신으로 민간에서 신앙해왔으며, 왕권이나 왕위를 상징하기도 했다.

민화 및 해설 : 한미애 서울시의사회 대의원회 부의장(목동 한소아청소년과의원장) 출처 : 의사신문(http://www.doctorstimes.com)
▲ 운룡도(雲龍圖) ⓒ박태숙 작가
엄재권, 황룡ㆍ청룡도 79×109cm, 1997
http://www.sangjusori.co.kr/board_RkXa24/7668

 

 

🐉 한국 문화 속 ‘용’에 대한 종합 정리

1. 용의 상상적 기원과 상징

  • 린(麟), 봉황, 거북과 함께 사령(四靈)의 하나.
  • 세계 여러 문명에서 등장: 이집트, 바빌로니아, 인도, 중국 등.
  • 중국 『광아(廣雅)』에서는 용을 9가지 동물의 혼합형으로 묘사함.
    • 예: 낙타 머리, 사슴 뿔, 토끼 눈, 잉어 비늘 등.
  • 신비로운 조화 능력을 지니며 변화무쌍한 수신(水神)으로 인식됨.
  • “미르”는 용의 순우리말이며, 미래와 관련된 예지적 능력의 상징으로 쓰임.

2. 용과 관련된 우리말과 존재들

용의 명칭 설명

미르 순우리말 ‘용’
이무기 용이 되지 못한 큰 뱀
이시미 이무기의 방언, 사람을 잡아먹는 괴물
영노 가면극에 등장하는 괴물, 용과 유사한 모습
꽝철이 하늘을 날 수 있지만 용이 되지 못한 뱀
바리 옛 문헌에 보이는 또 다른 ‘용’의 순우리말

3. 민간신앙 속의 용신신앙

  • 용은 **수신(水神)**으로 풍년과 비, 생명을 다스리는 존재.
  • 기우제 대상: 토룡(土龍) 제작, 그림 그리기 등으로 용에게 비를 기원.
  • 용왕굿: 우물·샘 주변에서 마을의 식수와 풍년을 기원하는 굿.
  • 용왕제 & 풍어제: 어민들의 신앙으로 안전과 풍어를 기원.

4. 풍수지리와 용

  • 산의 기복(起伏)을 ‘용맥’이라 부르며, 땅의 생기를 뜻함.
    • 태조산 → 간룡 → 지룡 → 결절점에 혈이 생김.
  • 길룡/흉룡, 생룡/사룡 등으로 산맥의 질을 판단.
  • 백두산 = 한국의 태조산, 지기의 근원.

5. 설화 속의 용

  • 『삼국유사』 등 문헌에서 86편 이상에 용 관련 설화 등장.
  • 주로 **호국·호교(佛法 보호)**의 상징으로 사용됨.
  • 지명 유래와 관련된 설화 다수:
    • 예: 용소(용의 연못), 용연, 용정, 용혈암 등.
  • 등용문, 용꿈: 입신양명의 상징으로 해석.

6. 불교 속의 용

  • 인도의 Nāga(나가): 반신반사 형태의 뱀신(蛇神).
  • 불교에서는 천왕팔부중 중 하나로 불법(佛法)의 수호신.
  • 8대 용왕:
    • 난타, 발난타, 사가라(바다의 용), 화수길, 덕차가, 아나바달다, 마나사, 우발라.
  • 사가라용왕은 기우를 관장하는 신으로 신앙됨.

7. 대표적 설화 요약

설화 유형 내용 요약

용소설화 황룡이 사람에게 도움을 받아 은혜를 갚음
용연설화 용이 솟아나 물을 주관함, 마을 이름 유래
용정설화 김선달이 용과의 인연으로 부를 얻게 됨
용혈암설화 자장이 불법을 위해 용을 쫓음, 바위에 피의 흔적
용꿈설화 용꿈 → 출세 또는 큰 인물 탄생 예시

✨ 요약 키워드

  • 용=미르=물의 신=미래의 상징
  • 농경, 어업, 불교, 풍수 등 다층적 신앙대상
  • 민간과 국왕, 불교 등에서 호국과 성스러움의 상징
  • 신비, 변화, 조화, 출세, 지기 등 다양한 주제와 연결

 

참고자료 출처 -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39355

 

용(龍)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encykorea.aks.ac.kr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