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림 drawing/민화 - 자료

[민화자료 - 새] 봉황 - 상서롭고 고귀한 뜻을 지닌 상상의 새

uchonsuyeon 2023. 6. 14. 16:16

https://terms.naver.com/imageDetail.naver?docId=577224&imageUrl=https%3A%2F%2Fdbscthumb-phinf.pstatic.net%2F2644_000_17%2F20190329093631531_ASQNM45QF.jpg%2Fa30966f0-170c-4e.jpg%3Ftype%3Dm935_fst_nce%26wm%3DY&cid=46670&categoryId=46670 

 

봉황도 이미지

봉황의 민화. 개인 소장. 봉황은 상서롭고 고귀한 뜻을 지닌 상상의 새로 수컷을 봉, 암컷을 황이라 한다. 성천자의 상징으로 민화의 소재가 되며, 암수 지절이 굳고 품위를 지키는 ...

terms.naver.com

 

내용

고대 중국에서 신성시했던 상상의 새로 기린·거북·용과 함께 사령()의 하나로 여겼다.

수컷을 봉(鳳), 암컷을 황(凰)

봉황의 생김새
『설문해자()』에는 봉의 앞부분은 기러기, 뒤는 기린, 뱀의 목, 물고기의 꼬리, 황새의 이마, 원앙새의 깃, 용의 무늬, 호랑이의 등, 제비의 턱, 닭의 부리를 가졌으며, 오색()을 갖추고 있다고 하였다.

『악집도()』에는 닭의 머리와 제비의 부리, 뱀의 목과 용의 몸, 기린의 날개와 물고기의 꼬리를 가진 동물로 봉황의 모양을 묘사하고 있다.

『주서()』에는 봉의 형체가 닭과 비슷하고 뱀의 머리에 물고기의 꼬리를 가졌다고 하였다. 이처럼 봉황의 모양은 한결같지 않다.

봉황의 의미
그러나 상서롭고 아름다운 상상의 새로 인식된 것만은 확실하다. 봉황은 동방 군자의 나라에서 나와서 사해()의 밖을 날아 곤륜산()을 지나 지주()의 물을 마시고 약수()에 깃을 씻고 저녁에 풍혈()에 자는데, 이 새가 세상에 나타나면 천하가 크게 안녕하다고 한다.

그래서 봉황은 성천자()의 상징으로 인식되었다. 천자가 거주하는 궁궐문에 봉황의 무늬를 장식하고 그 궁궐을 봉궐()이라고 했으며, 천자가 타는 수레를 봉연()·봉여(輿)·봉거()라고 불렀다. 중국에서 천자가 도읍한 장안()을 봉성()이라 하였고 궁중의 연못을 봉지()라고 불렀다.

이처럼 봉황이 천자의 상징이 된 까닭은 봉황이 항상 잘 다스려지는 나라에 나타난다고 믿어 천자 스스로가 성군()임을 표방한 데 연유한다. 중국 고대에는 성군()의 덕치()를 증명하는 징조로 봉황이 등장하고 있다.

우리나라 고대에는 봉황에 대한 신성관념이 중국처럼 강하지 않은 듯하다. 『삼국사기』나 『삼국유사』에는 봉황에 대한 신성관념이 발견되지 않고, 『고려사』 악지() 당악조()에 악관이 노래하는 가사 중에 봉황이 등장한다.

조선왕조가 개창되면서 봉황은 성군의 덕치를 상징하는 의미로 노래나 춤에 쓰였다. 조선 초기에 윤회()가 개작하였다는 「봉황음()」은 송축가()로서 조선의 문물제도를 찬미하고 왕가의 태평을 기원한 노래이다.

또한, 『세종실록』 악보()에 수록된 「봉래의()」는 궁중무용으로서 조선조 궁중에서 「용비어천가」를 부르며 추던 춤이었다.

이 무용은 당악과 향악을 섞어서 연주하는 음악에 맞추어 태평성세를 찬양하는 의미로 추어졌다. 이처럼 조선조 궁중의 가무 명칭에 봉황이 들어간 것은 옛날 순()임금이 태평지치를 이룩하고 ‘소소()’라는 음악을 지어 연주할 때 봉황이 와서 놀았다는 고사에 따라 군왕의 성덕을 찬양하는 의미로 쓰였음을 말해준다.

또한, 봉황은 천자를 상징하는 새라는 점에서 조선왕실이 중국의 제실()과 대등하다는 의식을 보여주는 점이기도 하다.

봉황은 새 중의 으뜸으로서 고귀하고 상서로움을 나타낸다. 그래서 봉황의 문양()이 건축·공예 등에 두루 쓰이었다. 전각(殿)의 기둥 머리에는 ‘봉두()’라고 하는 봉황의 머리 모양을 조각한 꾸밈새가 쓰였고, 공예에는 봉황문양을 장식한 장롱인 ‘봉장()’이 있다.

그밖에도 봉황은 여러 가지 장식으로 사용되었다. 공주가 시집갈 때 예장()으로 띠는 비단 띠에 금박으로 봉황무늬를 새겨 ‘봉대()’라고 하였고, 비녀 머리에 봉을 새긴 것을 ‘봉잠()’이라고 하였다.

또한, 봉황의 날개처럼 대나무로 만든 악기인 ‘봉소()’가 있고, 봉황새의 꽁지 모양으로 만든 부채로서 ‘봉미선()’이 있다.

봉황은 여인들의 수()의 소재로도 많이 쓰였다. 봉황을 수놓은 베개를 ‘봉침()’이라고 하는데, 바늘을 조상하는 「조침문 」이라는 글에 “난봉과 공작을 수놓을 제”라는 구절이 있음을 보아 봉황은 우리의 생활 속에 고귀한 것의 상징으로 이미 자리잡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봉황새는 자웅()이 서로 의가 좋은 것으로 알려졌으며 사마상여()가 지었다는 「봉구황곡()」이 구애()의 악곡으로 널리 알려지면서 봉황은 남녀의 상징으로 쓰이기도 하였다. 속담에 ‘봉 가는 데 황()이 간다.’, ‘봉이 나매 황이 난다.’라는 말은 사랑하는 남녀관계나 천정연분()을 의미한다.

고전소설 「이대봉전」은 태몽에 봉황 한쌍이 등장하여 남녀 주인공의 탄생을 예시하는데, 봉의 꿈을 꾸고 탄생한 남주인공 이대봉과 황의 꿈을 꾸고 탄생한 여주인공 장애황의 결연담을 담고 있는 작품이다. 봉황은 죽실(: 대나무 열매)을 먹고 살며 오동나무에 깃들인다.

이러한 봉황의 생태와 관련하여 「사랑가」에 “단산 봉황이 죽실을 물고 오동숲을 넘노는 듯”이라는 구절이 있다.

또한, 봉황은 지절()이 굳고 품위를 지키는 새로 알려져 있다. ‘봉은 굶주려도 좁쌀은 쪼지 않는다.’라는 속담이 그것을 말해 준다. 봉황은 새 중에 으뜸으로 뛰어나게 잘난 사람을 상징하기도 한다.

‘닭의 새끼 봉이 되랴.’, ‘닭이 천이면 봉이 한 마리 있다.’라는 속담에서 닭이 보통사람을 나타낸다면 봉은 뛰어난 인물을 지칭함을 알 수 있다.

시조에도 이와 같은 의미로 쓰인 “울밑에 벽오동 심어 봉황을 보렸더니/봉황은 아니오고 날아드니 오작이로다/동자야 저 오작 쫓지마라 봉황이 앉게.”라는 작품이 있다. 설화에는 봉이 김선달의 일화로 알려진 것으로 다음과 같은 이야기가 있다. 김선달에게 닭을 봉이라고 속이는 닭장수가 있었다.

김선달은 짐짓 속는 체하고 그 닭을 사서 관가에 바치고 사실을 관장에게 말했다. 닭 장수는 혼이 나고 김선달은 상을 받았음은 물론이다. 이처럼 우리 문학에 등장하는 봉황은 고귀하고 품위 있고 빼어난 것의 표상임을 알 수 있다.

[네이버 지식백과] 봉황 [鳳凰]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https://www.pinterest.co.kr/pin/21603273203547807/

 

김현수 2018년 작 봉황도 | 새 그림, 민화, 한국의 미술

 

www.pinterest.co.kr

https://www.pinterest.co.kr/pin/587790188888643730/

 

민화에 있는 Abikat님의 핀 - 2023 | 민화, 중국 예술, 일본 예술

 

www.pinterest.co.kr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