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이프 my life 452

Book. 센스의 재발견 - 미즈노 마나부

센스의 재발견이라는 책은 페북 친구분의 추천으로 읽게 되었다. 공유 주신 문구도 좋았지만, 책 제목 자체도 좋았다. 일본 작가들의 책은 내용이 너무 적은 경우가 많다. 책값은 동일한데 내용이 부족해서 아까운 기분이 드는 경우가 종종 있어서, 점차 일본 출신 서적을 사는 게 부담감을 느끼게 되었다. 그런데 추천도 받았겠다, 무작정 주문을 해 받아 두었다가 한참을 지난 후, 읽기 시작했다. 알고보니 구마몬(일본 구마모토 현의 검은 곰 캐릭터)을 만든 유명한 분이시다. 디자이너라 디자이너가 쓴 책은 좀 더 잘 와 닿는다. 창작에 대한 고민을 은근히 여기저기 녹여내어 공감을 사기 때문이다. 이분은 디자이너이자 회사대표이기에 사업적인 감각과 사회생활 등에 대해서 책에 정리해주셨다. ‘와 닿는다’라는 건 작가가 말..

[12/100 - 100개의 글쓰기] 검색어를 입력하세요 www

최근 열심히 챙겨보는 드라마가 하나 있다. (이하 줄여서 검블유)이다. 임수정, 이다희, 전혜진 세분의 멋진 여배우와 장기용이라는 남배우가 나온다. 그 외 쟁쟁한 배우들이 조연으로 나온다. 처음 보는 조연도 발성이나 연기가 괜찮다. 배경은 국내 최대의 두 개의 포털 간 싸움이라는 설정으로 세명의 여배우가 임원급으로 나온다. 일단 연출이나 대사가 감각적이고 찰진다. 한 장면 한장면이 CF 영상을 보는 듯 힘이 빠짝들어가면서 몽롱하다. 그 몽롱함을 음악으로 승화시킨다. 특히나 여성 보컬의 일레인의 ‘search’는 박자감이나 전체 음악 느낌이 드라마와 정말 잘 어울린다. 그리고 오존의 ‘우리 사이 은하수를 만들어’란 곡은 감성적인 분위기의 곡으로 세련된 느낌의 스피디한 드라마를 차분하게 잡아준다. 요즘 최애..

[11/100 - 100개의 글쓰기] 치킨에 맥주

결혼 전까지 치킨도 맥주도 그다지 좋아하지 않았다. 맥주도 그 자체보다는 소주와 섞은 쏘맥을 사랑했고, 보드카나 잭콕 같이 증류수가 섞인 술을 좋아했다. 남편은 1일 1 닭이 가능할 정도로 치킨을 좋아한다. 그리고 맥주를 아주 많이 사랑한다. 살면서 닮아간다더니 나도 어느새 치킨과 맥주를 즐기게 되었다. 처음에 치킨 두어조각을 먹고 맥주 500cc도 채 반을 못 마시고 남편에게 넘겨주었는데, 지금은 치킨 반마리는 즐겁게 먹고 맥주도 얼추 다 마신다. 어느 날은 남편이 볼맨 소리로 ‘아니 치맥 안 먹던 사람이 왜 이렇게 변한 거예요?’라고 묻더라. 그러고 보니 그렇다. 지금은 치킨집마다 선호하는 치킨도 생기고 쿠폰도 몇 번을 바꿔 먹을 정도로 잘 먹고 있다. 밤에는 잘 안 먹었는데, 이러한 습관 때문에 살..

[10/100 - 100개의 글쓰기] 짜파게티 취향

나는 짜파게티가 참 좋다. 다른 인스턴트 라면도 좋아하지만 짜파게티가 절대적으로 50%의 지분율을 가지고 있다. 처음 짜파게티를 먹은 게 초등학교 (그래 사실 국민학교) 때로 기억한다. 그때는 짜파게티 외에 짜장면이라는 면도 있었다. 둘 다 금액은 90원이어서 100원을 가지고 가면 남은 10원으로 ‘강제로’ 껌을 사 먹어야 했다. 짜파게티를 사 먹던 슈퍼의 긴 머리 언니도 생각난다. 지금은 할머니가 되었을 수도 있겠네. 어릴 때 나는 동생이 둘이나 있어서 오롯이 혼자만의 짜파게티는 먹어 본 적이 없다. 어느 날, 나 혼자 일찍 하교를 한 날이 있었다. 엄마는 나만의 짜파게티를 끓여 주셨다. 보글보글 면이 끓어 오르고 물을 버리고 수프를 넣고 볶는 과정을 애타게 기다렸다. 그리고 드디어 자그마한 나무 상..

[9/100 - 100개의 글] 백개의 글을 쓰는 이유

100개의 글 중 9번째 글. 첫 번째 글을 시작함에 앞서 써야겠지만, 나는 그저 툭하고 시작하고 싶었다. 그건 나의 특기다. 시작하는 것에 두려움이 없다. 다만 끝을 맺음에 자신감이 부족하다. 그래서 끝까지 하고 싶은 일들은 그저 툭툭 내놓는다. 특별한 일을 만들어버리면 그 일은 정말 특별해져서 부담감도 생기고 조급함도 생긴다. 하지만 툭툭 하루하루에 해야 할 일을 내밀고 해 버리면 어떤 것이든지 쉬워진다. 그저 가벼운 습관으로 만든다. 그것이 나의 특기이자 장점이다. 다만 그 루틴이 망가지면 처음부터 다시 해야 하는 변수가 있다. 그래서 가능한 만들어 둔 습관에서 벗어나지 않도록 주의한다. 100개의 글을 쓰는 이유는 무엇일까? 하루하루를 조금더 밀도 있게 담고 싶었다. 초등학생 때부터 일기를 써왔다..

728x90